본문 바로가기

궁금한 이야기

일본뇌염 예방접종 대상 및 기간

일본뇌염 예방접종 대상 및 기간

안녕하세요.

요즘 한창 모기가 많을 때입니다.

보통은 모기라고 해서 우습게 보고 넘겨버리기 쉽지만

일본뇌염의 위험성은 다들 잘 모르고 계실 것 같은데요.

 

오늘은 일본뇌염 예방접종 대상 및 기간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본뇌염이란

일본뇌염모기의 뇌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되어 신경을 침범하는

급성 전염병으로 유행성 뇌염에 속합니다.

일본뇌염은 작은 빨간집모기에 의해 감염되고 일본뇌염에

걸리면 특별한 치료방법이 없어서 예방이 최선이고

대부분 고온다습하고

미개발 지역이 많은 열대지방에서 많이 발생되어 

열대성 병에 속합니다.

 

 

 

일본뇌염의 증상은

감염자의 약 250명 중 1명이 임상증상을 나타내고

열을 동반하는 가벼운 증상이나 바이러스성 수막염으로

이행되기도 하며 드물게는 뇌염으로 진행이 됩니다.

만약 뇌염으로 진행된 경우에는 약 30%의 치명률을 보입니다.

 

감염 모기에 물린 후 일주일이나 20일 후에 증상이 시작되고

95프로는 무증상이나 급성으로 진행된 경우

고열이나 두통, 현기증, 구토 등이 초기에 나타나고

병이 진행되면 경련이나 혼수, 의식장애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회복기에는 판단력 저하, 사지운동 저하 등 후유증이 발병됩니다.

 

 

 

일본뇌염의 치료방법은

특이적인 치료방법은 없고 순환장애나 세균 감염, 호흡장애 등에는

보전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일본뇌염은 특별한 예방법이 없으므로 예방접종을 통해

일본뇌염을 예방해야 합니다.

 

일본뇌염 예방접종 대상 및 기간

 

일본뇌염 불활성화 백신은 베로 세포 유래 불활성화 백신과 

쥐 뇌조직 유래 불활성화 백신으로  분류되며, 

첫 접종을 시작하는 영유아는 베로세포 유래 불활성화 백신으로

접종하기를 우선 권고하며 최근 쥐 뇌조직 유래 불활성화 백신 사용은

부작용을 이유로 사용을 자제하는 추세입니다. 

쥐 뇌조직 유래 불활성화 백신을 1차, 2차 접종했을 경우

3차부터 베로세포 유래  불활성화 백신으로 교차접종이 가능합니다


 

불활성화 접종 대상 및 시기
기초접종: 생후 12~23개월에 7~30일 간격으로 2회 접종하고,

2차 접종 12개월 뒤 3차 접종합니다.
추가접종: 만 6세, 만 12세에 각각 1회 접종합니다.

 

약독화 생백신 접종 대상 및 시기

기초접종: 생후 12~23개월에 1회 접종하고,

1차 접종 12개월 뒤 2차 접종

*일본뇌염 불활성화 백신과 약독화 생백신의

교차접종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15세 미만의 아동은 일본뇌염 예방 접종을 꼭 맞아야 하고

예방접종으로 발생은 줄일 수 있지만 근절시킬 수는 없으므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모기의 서식과 번식을 방지하는

환경위생이 아주 중요합니다.

 

일본뇌염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은 드물지만

접종후 통증과 주사부위 부어오름 , 발열이나 발진 등이 나타날 수 있고

아주 드물게는 중추신경계 이상반응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일본뇌염 예방접종 대상 및 기간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저 또한 모기를 우습게 알았는데 일본뇌염은 알고 보니

무서운 병이었네요.

안 물리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피할 수 없다면

예방접종으로 미리 예방을 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다른 건강한 인생이 필요하다면
 

B형 간염 예방접종 대상 및 기간

b형 간염 예방접종 대상 및 기간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 A형 간염 대상 및 기간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오늘은 b형 간염 예방접종 대상 및 기간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예방�

playtime-07.i-donald.co.kr